지방의 역할과 종류: 지방은 다 몸에 나쁜가요?
지방의 역할
- 에너지 저장 Energy Storage
- 두뇌 발달 Brain Development
- 단열처리 Insulation
- 내부 장기 보호 Protection of Internal organs
▷ 20세기, 저지방/무지방 식품의 유행에도 불구하고, 비만Obesity는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.
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
포화지방 Saturated Fats
▷ 지방산 Fatty Acid에 수소 분자로 포화되어 있음
▷ 납작하게 눕힐 수 있고 밀도가 높아 상온에서 대부분 고체 상태
▷ 동물성 지방(라드 Lard, 버터)
불포화지방 Unsaturated Fats
▷ 탄소 원자가 두 개씩 붙어있는 부분은 수소가 포회되어 있지 않아 튀틀려 있음
▷ 지방산이 덜 엉겨붙어 있다는 의미로 상온에서 대부분 액체 상태
불포화지방의 구분
자연산 불포화지방 Natural Unsaturated Fats
▷ 생선, 견과류, 올리브 오일, 아보카도
인공 불포화지방 Man-made Unsaturated Fats
▷ 마가린, 식용유
▷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불포화지방
→ 반복적으로 튀겼다가 식혔다가를 반복하는 패스트푸드 음식의 튀김유로 많이 사용
→ 탄소 원소 Carbon Atoms 간의 화학적 결합 Chemical Bonds이 불안정적임
→ 시스형 Cis Orientation이 아닌 트랜스형 Trans Orientation으로 쉽게 변형됨
⇒ 여기서 트랜스지방 Trans Fats 이라는 이름이 유래
트랜스 지방 Trans Fats
▷ 혈액의 LDL콜레스테롤을 높임
→ 동맥의 플라크 Arterial Plaques 형성을 촉진하여 동맥경화를 유발
▷ 혈액의 HDL 콜레스테롤을 낮춤
→심장질환 위험을 높임
▷ 포화지방 역시 LDL 콜레스테롤을 높이지만 트랜스 지방 만큼 동맥 경화를 유발하지 않으며, HDL 콜레스테롤을 낮추지는 않음
오메가 3 지방산 Omega 3 Fatty Acids
수소탄소 사슬에서 이중 결합 double bonds 이 특정 위치에서 자리잡고 있는 특별한 불포화지방산
몸에서 자연 생성되지 않아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.
피쉬 오일, 견과류, 아마씨드 Flax Seeds, 식물성 기름 등에 함유
식단 구성시 지방 섭취 권장 사항
- 견과류, 올리브 오일, 아보카도 등 자연산 불포화지방을 주로 섭취
- 패스트푸드 등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식품은 피함
- 적색육 처럼 포화지방이 높음 식품 절제하여 섭취
- 오메가 3 지방산을 별도로 챙겨 먹음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용어
- 단열처리 Insulation
- 범인 Culprit
- 비만 Obesity
- 지방산 Fatty Acid
- 포화지방 Saturated Fats
- 불포화지방 Unsaturated Fats
- 라드 Lard
- 자연산 불포화지방 Natural Unsaturated Fats
- 인공 불포화지방 Man-made Unsaturated Fats
- 시스형 Cis Orientation
- 트랜스형 Trans Orientation
- 트랜스 지방 Trans Fats
- LDL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
- HDL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
- 지방단백질 Lipoprotein
- 죽종 Arterial Plaques
- 오메가 3 지방산 Omega 3 Fatty Acids
- 아마씨드 Flax Seeds
이상입니다.
감사합니다.
'정보가 있는 곳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강과 식품] 설탕, 하루 6티스푼 이하로 드세요 (6) | 2023.01.06 |
---|---|
[건강과 식품] 가공식품: 곰팡이도 먹기 싫어하는 음식을 왜 드세요? (6) | 2023.01.04 |
최대예상손실액와 스트레스 테스트 (0) | 2023.01.02 |
[건강과 식품] 단백질의 역할과 종류: 단백질 어떻게 먹을 것인가 (0) | 2023.01.02 |
[건강과 식품] GI지수가 낮은 탄수화물 식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(1) | 2023.0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