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존활동을 위한 필수요소
- 산소 - 인간은 산소 없이 3분 동안 생존 가능
- 물 - 인간은 물 없이 3일 동안 생존 가능
- 음식 - 인간은 음식 없이 3주 동안 생존 가능
대량영양소 Macronutrients
▷ 1827년 영국의 물리학자 William Prout가 처음 제안한 인간의 생존을 위한 3대 대량 영양소
- 탄수화물 Carbohydrates
- 단백질 Proteins
- 지방 Fats
→ 많은 과학자 및 영양학자들이 어떤 비율로 세 영양소를 섭취해야하는지 연구 지속
우리가 먹는 것은 영양소가 아닌 음식
▷ 과학자들은 신진대사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위해 음식을 영양소라는 변수로 대체하여 단순화함
→ 이에 따라 신진대사에 관한 논의에 있어 음식보다 영양소에 집중하는 경향이 생김
→ 그러나 단순히 영양소나 영양제의 감소나 증가로는 신진대사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없음
→ 음식은 단순한 영양소의 집합이 아닌 그 자체로 복잡한 시스템
⇒ 따라서, 영양소는 음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인간이 궁극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영양소가 아닌 음식
⇒ 건강한 식습관과 신진대사활동을 위해서는 음식에 대한 공부 필요
탄단지의 신진대사
1) 소화 과정 중 탄수화물
▷ 탄수화물은 에너지로 사용되며 초과량은 지방으로 축척
에너지 수요가 높은 경우
탄수화물 → 포도당 Glucose (생체 대사 가능 형태) → 아데노신 3인산 ATP (사용 가능한 에너지 형태)
에너지 수요가 낮은 경우
탄수화물 → 포도당 Glucose (생체 대사 가능 형태) → 지방조직 Adipose Tissue
2) 소화 과정 중 단백질
▷ 단백질은 신체 기능 활동 및 에너지로 사용되며, 초과량은 지방으로 축척
단백질 → 아미노산 Amino Acid → 신체 기능 활동 사용 (근육 조직Lean Tissue 회복 등)
에너지 수요가 높은 경우
단백질 → 아미노산 Amino Acid → 아데노신 3인산 ATP (사용 가능한 에너지 형태)
에너지 수요가 낮은 경우
단백질 → 아미노산 Amino Acid → 지방조직 Adipose Tissue
⇒ 따라서, 단백질도 많이 먹으면 당연히 살이 찔 수 있음!
3) 소화 과정 중 지방
에너지 수요가 높은 경우
지방 → 글리세린 Glycerol + 지방산 Fatty Acid → 아데노신 3인산 ATP (사용 가능한 에너지 형태)
에너지 수요가 낮은 경우
지방 → 글리세린 Glycerol + 지방산 Fatty Acid→ 지방조직 Adipose Tissue
에너지 밀도 Energy Density
- 지방 Fats 9 cal/g
- 알코올 Alcohol 7 cal/g
- 탄수화물 Carbs 4cal/g
- 단백질 Proteins 4cal/g
▷ 신체가 초과된 영양분을 지방으로 저장하는 것은 지방의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
→ 이는 과체중 Overweight과 비만 Obesity의 근본적인 원인
▷ 술 역시 고밀도 에너지 식품으로 많이 먹으면 살이 찔 수 있음
장단기 다이어트 전략
단기적인 다이어트
▷ 체지방 감량의 우선 사항: 에너지 소비량을 에너지 저장량 보다 늘리는 것
- 식단 관리를 통해 칼로리는 더 적게 섭취
- 운동 등 신체활동을 통해 칼로리는 더 크게 소비
- 두 개 다 실행
장기적인 다이어트
- 음식의 질이 칼로리 섭취량 만큼 중요!
- 탄단지, 각 대량영양소의 골고루 섭취
- 건강을 해치는 음식은 먹지 않고, 건강을 위한 음식 섭취
용어
- 대량영양소 Macronutrient
- 신진대사 Metabolism
- 탄수화물 Carbohydrates
- 단백질 Proteins
- 지방 Fats
- 아데노신 3인산 ATP, Adenosine Triphosphate
- 지방조직 Adipose Tissue
- 아미노산 Amino Acid
- 근육조직 Lean Tissue
- 글리세린 Glycerol
- 지방산 Fatty Acid
- 과체중 Overweight
- 비만 Obesity
출처: Coursera > Stanford Introduction to Food and Health
'정보가 있는 곳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강과 식품] 단백질의 역할과 종류: 단백질 어떻게 먹을 것인가 (0) | 2023.01.02 |
---|---|
[건강과 식품] GI지수가 낮은 탄수화물 식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(1) | 2023.01.02 |
합동과 닮음 (0) | 2022.12.30 |
합성함수와 가역함수 (0) | 2022.12.29 |
[건강과 식품] 적혈구의 역할과 특징 (1) | 2022.1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