컴퓨터와 프로그래머
- 컴퓨터의 존재 목적 : 사용자 하고자 하는 바를 돕는다.
- 프로그래머는 니즈를 예상하고 프로그램을 만든다.
- 프로그래머는 하드웨어와 사용자(End User) 사이에서 상호작용한다.
프로그래머가 되고자 하는 이유
- 업무를 처리한다 (유저 = 프로그래머)
- 다른 사람이 사용한 프로그램을 생산한다
프로그램
- 프로그램 : 저장된 명령어의 순차적 배열 (a squence of stored intructions)
- 낮은 수준의 하드웨어 레벨에서는 할 수 없는 연산들을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 가능
하드웨어 개요
입출력장치 Input / Output Devices
- 외부세계에 접근 및 상호작용하는 방식
- 마우스, 키보드, 스캐너, 터치 스크린
- 스크린, 스피커, 프린터, DVD Burner
소프트웨어 Software
1)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s
- 수많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회로
- 레지스터 Resistors, 트랜지스터 Transistors, 캐퍼시터Capacitors, 전선 Wires(PCB) 등으로 구성됨.
- 그 중 트랜지스터가 연산과정의 핵심이 됨.
*PCB: Printed Circuit Board
- 초당 약 30억개의 명령을 처리함.
- 명령은 32개 혹은 64개의 작은 전선들로 이루어진 일련의 전기 맥박 (Electricl Pulse)이 주는 0 과 1로 이루어진 신호 (기계어)
- 다음에는 무엇인가? What's next?
- 스마트하지는 않지만 매우 빠르다.
2) 메모리
- 메인 메모리와 서브 메모리로 구성
- 작성된 프로그램은 서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실행하면 메인 메모리로 이동
- Fetch Execute Cycle: CPU에 명령을 순차적으로 전달하고 결과값을 받아 프로그램에 저장함.
- 컴퓨터가 꺼지면, 메인 메모리의 데이터는 지워지지만(휘발성), 서브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됨(비휘발성)
- 메인 메모리 Main Memory: 빠르고 작은 휘발성 저장 장치 (ex)RAM
- 서브 메모리 Secondary Memory: 느리고 큰 비휘발성 저장 장치 (ex)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, 메모리스틱(USB)
- 컴파일러 Compiler 혹은 인터프레터 Interpreter :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명령어를 기계어로 번역해줌
sophisticated 복잡한
platter 접시
gadget 도구
'IT&전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10 시작 프로그램 관리 방법 및 단축키 (1) | 2022.12.28 |
---|---|
[SQL] IN 연산자 (2) | 2022.12.21 |
[EXCEL] 매우 유용하지만 잘 모르는 필터 설정 및 조작 단축키 (0) | 2022.12.20 |
[SQL] ORDER BY 키워드 (1) | 2022.12.17 |
[SQL] AND / OR / NOT 연산자 문법 및 사용법 (0) | 2022.12.17 |